주식의 사계절론으로 유명하신 전업 투자자 남석관님의 책을 읽어 보았습니다.
주식 시장을 바라봐야 하는 관점(메가트렌드에 주목, 시대정신)과 실전 투자 방법(기본적분석, 장단기매매, 계좌관리)이 다양하게 담겨 있어 좋았던 책이었습니다.
Part 1. 급변하는 주식 투자 환경
Chapter 1. 미래 예측과 투자
세상에 변하지 않은 것은 없다. 특히 주식 투자 환경의 경우, 쉽게 예측할 수 없을 만큼 변화무쌍하다. 잘 나가는 기업이 하루아침에 곤두박질치기도 하고, 크게 주목 받지 못했던 기업이 트렌드 변화에 힘입어 슈퍼스타가 되기도 한다.
주식 투자자라면 미래를 예측해보는 일을 게을러선 안 된다. 변화의 추이를 파악하기 위해 노력해야 하고, 과거의 투자 결과를 점검하며 새로운 청사진을 구상하는 투자가가 되어야 한다.
급격한 변화를 불안해하고 불편해하기보다 과학 기술이 발전, 진화하는 방향을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시선으로 보려는 태도가 중요하고 실직적으로 투자에도 도움이 된다. 즉, 세상의 변화를 주도하는 기업들을 유심히 관찰하는 사람에게 기회가 찾아갈 것이다. 변화의 중심에 선 기업에 투자하고, 미래의 변화 방향을 예측해보려는 자세가 필요하다. 발 빠른 변화 앞에서 한발 더 빠르게 대응하는 투자자가 되어야 한다.
투자자들은 메가트렌드를 이해하고 이에 걸맞은 투자를 해야 성공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Chapter 2. 주식 투자의 기초
주식 투자자에게는 세상과의 끊임없는 소통, 관심, 참여하는 자세가 중요하다.
우리나라 코스피의 경우 오름세가 강한 분위기에서는 삼성전자와 같은 대형주들부터 상승한다.
'코스피200'에 포함된 지수관련 주식을 매매하는 주체는 일반적으로 큰 자금을 가진 외국인과 국내 기관 투자자다.
반대로 코스피 지수가 상단을 뚫고 오르는 지수의 견인은 대부분 외국인 투자자들이 이끈다. 외국인들이 지수를 견인하면 기관 투자자가 뒤를 이어 추격 매수에 나서고 차익 실현 매물이 나올 때 개인 투자자가 매물을 받는 경우가 많다.
결국 개인 투자자들의 투자 수익률이 가장 저조한 이유이기도 하다.
주식의 매수 및 매도 행위는 시장과 종목을 바라보는 투자자의 '예측과 대응'의 결과물이라고 이해하면 된다.
투자자들이 매수 이후 가볍게 여기는 것이 바로 '대응'의 문제다. 주가가 상승할 것이라고 예측했지만 하락하는 경우, 이에 대한 대응 시나리오가 없어서 재산상 손실을 보는 투자자가 많다.
매수 후 상승하는 경우에는 분할 매도해서 수익률을 극대화하거나 급상승 하는 경우 전량 매도 후 재매수하는 투자 방법도 대응의 영역이다.
매수나 보유 하락하는 경우, 그리고 급락하는 경우도 대응 전략을 미리 짜놓으면 손절 시기를 놓쳐 큰 손실을 껴안고 있거나 재투자의 기회비용을 날리는 안타까움을 방지할 수 있다.
처음 주식 투자를 하는 분들에게는 자신이 몸담은 회사, 평소 관심을 갖고 지켜본 기업, 업무상이로든 개인적으로든 밀접한 관계를 가진 기업 등이 적절한 투자 대상이다. 처음에는 투자자가 잘 아는 기업 또는 관계가 있는 회사에서 수익을 거두다가 점차 외형을 확대해가는 전략이 좋다.
보유 종목을 더 넓히고 싶다면 평소 관심 갖고 있던 산업군을 검색, 목록화하여 해당 산업에 대한 기사, 정보, 이슈, 트렌드 등을 분석하고 학습해두는 것이 도움이된다. 이렇게 목록화된 기업들은 자신의 투자 목록 대상에 하나씩 편입하는 것이다.
시시각각 변하는 사회현상이나 유행을 관심 갖고 지켜보면서 변화를 이끄는 주도 기업, 변화에 따른 수혜 기업을 가늠해보자. 우리 생활 곳곳에 대박의 힌트가 숨어 있다. (밥솥-쿠첸, 장마철 제습기-위닉스, 나가사키 짬뽕-삼양식품, 노스페이스-영원무역, 드라마-키이스트, 싸이-디아이, 명량-대성창투, 혼술/혼밥-BGF리테일, GS리테일)
신문에 뉴스에 소개되는 정부 정책들도 눈여겨볼 만하다. 정부가 주도하는 변화에 참여하거나 수혜를 볼 기업들을 이른바
'정책관련주'라고 부른다. 국가의 자금이 집해되는 곳에는 기업의 자금도 몰릴 가능성이 높다.
Chapter 3. 주식 투자에 영향을 미치는 트렌드
향후 글로벌 금융시장에서 주목해야 할 산업군과 분야는 1)태양광이나 풍력과 같은 신재생에너지 사업, 2)로봇, 3)공유경제, 4)헬스케어 산업이다.
정보에 뒤지는 개인 투자자가 급변하는 환경에서 수익을 높이려면 정보 얻는 일을 게을리서는 안 된다. 증권사 홈페이지의 산업별 리포트, 신문의 산업코너, 세계 3대 IT 전시회(CES, IFA, MWC)도 좋은 정보가 된다.
우라가미 구니오의 증시 사계론
우라가미 구니오는 변수의 변화에 따라 주식 사이클을 네 가지 국면으로 분류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벤저민 그레이엄의 종목 선발 기준
워런 버핏의 종목 선발 기준
피터 린치의 종목 선발 기준
존 템플턴의 종목 선발 기준
Part 2. 시장을 이기는 실전 투식 투자
Chapter 4. 주식 투자 일반론
작성 중..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빅데이터] 빅데이터 커리어 가이드라인(조성준, 김현용, 박서영, 안용대, 임성연 지음) (1) | 2023.03.19 |
---|---|
[도서리뷰] 주식투자 무작정 따라하기(2023년 개정판) 후기 (0) | 2023.02.06 |
[리뷰/에어팟] 에어팟 프로 2세대 사용 후기 (0) | 2022.11.02 |
[도서리뷰] 나의 월급독립 프로젝트(유목민 지음) (0) | 2022.11.01 |
[도서리뷰] 현명한 지표 투자(저자:고재홍(재콩), 새로운길) (1) | 2022.10.02 |